[내일배움캠프 사전캠프] 11일 차
Python 알아보기
1. Python 이란?
"Python은 가독성이 높고 문법이 쉽다"라는 문장에 증거가 될 사례를 작성해주세요.
- 파이썬은 인간 사고와 유사한 문법 가진다. 따라서 작성하기 쉽고 간결하다.
예시는 'Welcome!'이라는 문자열을 출력하라는 의미이다.
'print'의 뜻과 일치하므로 의미를 바로 이해할 수 있다.
이외에도, for 구문, if else 조건문은 영어 문장처럼 읽혀 이해하기 쉽다.
print('Welcome!')
#결과
Welcome!
참고 자료: https://wikidocs.net/193573
- 파이썬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.
예시는 변수의 값을 서로 교환하는 문법이다.
a에 b 값을, b에 a 값을 할당하라는 것이다.
a, b = b, a
다른 언어는 temp라는 임시변수를 사용해 값을 교환하는 경우가 많다.
파이썬이 타 언어 대비 문법이 직관적이다.
참고 자료: https://tyoon9781.tistory.com/entry/the-zen-of-python
- 생산성이 높아진다.
파이썬은 직관적이면서 간단한 문법 사용하여 코드를 빠르게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다.
다른 사람의 코드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협업 시 편리하다.
참고 자료: https://wikidocs.net/193573
2. Python에서 더 나아가기
데이터 분석가가 Python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
- 데이터를 탐색,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지원한다.
Pandas: 데이터 조작 및 분석
Numpy: 수학적 연산 수행
Matplotlib, Seaborn: 데이터 시각화
Scikit-learn: 머신러닝 알고리즘
TensorFlow, PyTorch, Keras: 머신러닝, 딥러닝
참고 자료: https://www.codeit.kr/tutorials/119/python-data-analysis
데이터 분석가가 Python을 이용했을 때 어떤 이점이 있나요?
1. 오픈 소스이다. 커뮤니티가 잘 발달해 있어 정보를 얻기 쉽다.
2. 데이터 분석 외에도 머신러닝, 딥러닝 등 다른 분야로 확장할 수 있다.
3.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.
참고 자료: https://wikidocs.net/193576
https://www.codeit.kr/tutorials/119/python-data-analysis
Python 반복문 연습하기 Part 1
문제
numbers = [1, 2, 3, 4, 2, 2, 5, 2]
value_to_find = 2
리스트에서 2는 4회 등장합니다!
내 답안: 구글링 전
numbers = [1, 2, 3, 4, 2, 2, 5, 2]
value_to_find = 2
count = []
for i in numbers:
if i == value_to_find:
count.append(i)
print(f'리스트에서 {value_to_find}는 {len(count)}회 등장합니다!')
내 답안: 구글링 후
numbers = [1, 2, 3, 4, 2, 2, 5, 2]
value_to_find = 2
for i in numbers:
if i == value_to_find:
num = numbers.count(i)
print(f'리스트에서 {value_to_find}는 {num}회 등장합니다!')
내 답안: 힌트 본 후
numbers = [1, 2, 3, 4, 2, 2, 5, 2]
value_to_find = 2
count = 0
for i in numbers:
if i == value_to_find:
count += 1
print(f"리스트에서 {value_to_find}는 {count}회 등장합니다!")
- 헷갈린 점: f-string 사용할 때 작은 따옴표인지 큰 따옴표인지 헷갈렸다.
- 개선점:
f-string 사용 시 작은 따옴표, 큰 따옴표 둘 다 작동한다.
다만, f-string 내부에 따옴표를 사용한다면 내부 따옴표와 f-string 따옴표를 다르게 해야 한다.
f"My name is {'Hawa1ian guy'}"
1. List count() Method
- list.count(value)
- 리스트에 value와 같은 값 가진 요소가 몇 개 있는지 세어준다.
- 예시
numbers = [10, 55, 43, 16, 34, 15, 72, 43]
x = numbers.count(43)
print(x)
# 결과
2
//